국내 중장비 제조사 순위 및 특징 분석 :: 중장비와 건설의 세계

중장비와 건설의 세계

건설기계, 중장비, 굴삭기, 불도저, 로더, 스크레이퍼, 그레이더, 덤프트럭, 항타기, 항발기, 천공기, 노면절단기, 콘크리트피니셔, 아스팔트피니셔, 롤러, 믹서트럭, 펌프카, 콘크리트배합기, 피니셔, 플로터, 크레인, 지게차, 핸들러, 고소작업차, 스카이차, 노면표시차, 진공흡입차, 재설기, 로더, 미니, 공사현장, 기사연봉, 면허, 학원, 창업, 수출, 보험, 해외취업, 제조사, 정보제공.

  • 2025. 7. 22.

    by. Keyon

    목차

      반응형

      ① 글로벌 시장에서 빛나는 한국 중견기업 – HD현대인프라코어 & 현대건설기계

      국내 중장비 업계를 대표하는 기업으로 HD현대인프라코어현대건설기계가 자리합니다.
      2023년 글로벌 중장비 제조사 매출 순위에서 이들 두 기업은 각각 약 **35.7억 달러(1.5%)**와 **29.3억 달러(1.2%)**를 기록하며 전세계 20위권 수준의 입지를 확보

      HD현대인프라코어는 중대형 굴삭기, 휠로더 뿐만 아니라 발전기용·산업용 엔진까지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양합니다. 반면 현대건설기계는 굴삭기, 지게차, 스키드로더 등 산업차량과 건설기계 양쪽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입니다

      최근 두 기업은 통합 그룹사(Hyundai Genuine) 체제로 조직을 확대하며, 단순한 국내 1위에서 글로벌 톱5 진입을 목표로 공격적인 기술·네트워크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이들은 뛰어난 A/S망, ICT 기반 장비 관리(예: Hi-Mate), 전동화 라인업 확장 등을 기반으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국내 중장비 제조사 순위 및 특징 분석

      ② 다목적 소형 장비의 강자 – 두산인프라코어(두산밥캣 포함)

      두산인프라코어는 굴삭기·휠로더는 물론, 소형 스키드로더와 엔진 분야에서도 강력한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두산밥캣’ 브랜드로 알려진 소형 장비 시장에서는 글로벌 톱10에 진입하며(글로벌 점유율 약 3.1%), 소형과 중형 장비 분야에서 우수한 경쟁력을 자랑합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현지화 생산과 애프터서비스 인프라를 전세계에 구축해 중소형 장비 시장에서 높은 신뢰를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 등 주요 해외시장에서 현대보다 더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는 지역도 상당해 ‘틈새시장 강자’로서의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③ 농기계·기계 부품 전문 기업 – LS Mtron & 대동(Kioti)

      국내 중장비 업계에는 농기계와 기계 부품을 중심으로 성장한 기업들도 있습니다.
      LS Mtron은 트랙터와 사출기계, 전자 부품 등을 생산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춘 중견기업입니다. 2020년 매출 기준 약 7억 1,000만 달러, 특히 트랙터 및 가드레일용 트랙션 장비 품질이 좋습니다.

      또한 대동공업 (브랜드명 Kioti)은 국내 최초 트랙터 생산 기업으로,
      북미 시장에서 Kioti 브랜드로 현지 맞춤형 농기계를 생산·판매하며 농기계 분야에서 글로벌 인지도를 확보했습니다
      이들 기업은 인프라·건설 중심의 중장비 영역은 아니지만, 농기계와 부품 분야에서 국내외에서 경쟁력을 갖춘 브랜드로 손꼽힙니다.

      ④ 미래를 준비하는 특수·첨단 중장비 – 두산·효성·로템 등

      그 외에도 **두산의 공작기계 계열(DN Solutions)**은 글로벌 전세계 3위 기계 공구 기업으로 성장했고, 효성중공업 및 현대로템, 현대중공업 등은 수소·철도·방산 장비 등 특수 목적 장비로 기술 진화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현대로템은 중장비보다는 철도차량, 방산로더, 물류 AGV 등으로 산업기계 역량을 확대 중이고,
      효성중공업은 전력 변압과 수소 인프라 장비로 사업을 확장하며
      녹색 전환과 연계된 ‘스마트 중장비’ 분야 개척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이처럼 한국 중장비 제조사들은

      • 전통 공작·건설 장비 기업
      • 농기계·부품 전문 기업
      • 미래 기술 사업 기업

      이 세 축을 바탕으로 각자의 전문 영역에서 경쟁력 강화와 기술 혁신을 이루며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반응형